본문 바로가기
Git

git branch 명령어와 이해

by 걸어가는 신사 2021. 9. 14.

1. git Branch 명령어

(1) 현재 Branch 목록

$ git branch
  • 아무런 옵션 없이 실행하면 branch의 목록을 보여준다.

(2) Branch 생성

$ git branch <branch 이름>

(3) Branch 전환

$ git switch <branch 이름>
$ git checkout <branch 이름>
  • switch or checkout 명령어 둘 다 이용해서 branch 변경 가능 
  • 단순히 branch를 변경하는 경우 switch 사용을 권장

 

$ git checkout -b <branch 이름>
  • checkout 명령어에 -b 옵션을 넣으면 브랜치 생성과 전환이 같이 실행된다.

 

2. Branch의 이해

  • branch는 commit에 대한 reference
  • 기본 branch의 이름은 master 혹은 main

(1) 새로운 Branch 생성

  • 기본 branch 외에 새로운 branch 생성
  • git branch <branch 이름>
  • $ git branch ideas

 

(2) head의 이해

  • Head는 branch에 대한 reference
    • commit에 대한 reference에 대한 reference
  • HEAD는 하나만 존재한다.
  • 새로 master branch에서 commit을 진행한 경우
    • HEAD가 가르키는 commit은 동일하게 master이다

(3) Branch의 전환

  • git에서는 switch 혹은 checkout을 통해 현재 branch 변경
  • $ git switch ideas 또는 $ git checkout ideas
  • 단순히 branch를 변경하는 경우 switch 사용을 권장
  • checkout은 다목적으로 활용

(4) Branching 후 commit

  • ideas branch에서 새로운 내용을 commit 한 경우

(5) master branch로 switch이후 Merge

  • ideas branch에서 작업한 내용을 master branch에 병합
  • $ git merge ideas
  • 충돌이 있는 경우 해결 필요

 

 

반응형
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GIT] Git 기본 용어와 기본 플로우(flow)  (0) 2022.01.17
[GIT] Git 설치 (Window)  (0) 2022.01.17
git 소스코드 Push  (0) 2021.09.15
Git의 이해 (feat. git object)  (0) 2021.09.14
Git 이란?  (0) 2021.09.14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