위 글은 코드프레소 Java 웹 개발 체험단 활동 중
실무자가 알려주는 Git 입문 수업을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코드프레소 URL : https://www.codepresso.kr/
1. 저장소
- 원격 저장소 (Remote Repository)
- 파일이 원격 저장소 전용 서버에서 관리되며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기 위한 저장소
- 로컬 저장소 (Local Repository)
- 내 PC에 파일이 저장되는 개인 전용 저장소
2. Clone
- 원격저장소의 소스코드를 로컬저장소에 복사하는 과정
3. 로컬 저장소
- 로컬저장소(개인 저장소)는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진다.
- 작업 디렉토리 (Working Directory)
- 스테이징 영역 (Staging Area)
- 로컬 저장소 (Local Repository)
(1) 작업 디렉토리 (Working Directory)
- PC에서 현재 작업 중에 있는 디렉토리
- Git에서 관리는 하지만, 추적은 하지 않는다.
(2) 스테이징 영역 (Staging Area)
- 작업한 내용이 올라가는 임시 저장 영역
- git에 의해 변경점 추적 관리되는 영역
- 커밋을 준비하는 영역
(3) 로컬 저장소
- 커밋들이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영역
- 원격저장소로부터 Clone 한 커밋들이 존재하는 영역
4. 커밋 (Commit)
- Git에서 가장 의미 있는 변경의 단위
- 변경의 단위는 개발자마다 조직마다 모두 다르다.
- "커밋하다" - 변경점을 로컬 저장소로 저장하는 과정
- 커밋의 단위나 커밋 메시지를 작성하는 양식은 개발자마다 혹은 조직마다 다르다.
5. Pull, Push
(1) Pull
- 원격저장소에 있는 다른 개발자의 커밋들을 받아온다.
(2) Push
- 로컬저장소에서 만든 커밋을 원격저장소로 업로드한다.
Git 기본 플로우
- 1) 원격저장소의 소스코드를 다운로드 (clone)
- 2) 작업 디렉토리에서 작업 (개발자의 코딩)
- 3) 작업한 내용을 스테이지 영역에 추가 (add)
- 4) 의미 있는 변경점이 쌓이면 최종적으로 커밋 (commit)
- 5) commit들이 원격 저장소로 옮기기 전에 원격저장소의 변경이 있었는지 확인하고, 변경점이 있다면 내용을 가져온다. (pull)
- 6) pull 하는 과정에서 충돌하는 부분이 있다면 팀원들과 협의하여 해결하고, 충돌하는 부분이 없다면 원격저장소로 commit들을 올린다. (push)
반응형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Git Branch (0) | 2022.01.17 |
---|---|
[GIT] 원격저장소 생성과 Push하기 (0) | 2022.01.17 |
[GIT] Git 설치 (Window) (0) | 2022.01.17 |
git 소스코드 Push (0) | 2021.09.15 |
git branch 명령어와 이해 (0) | 2021.09.1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