위 글은 코드프레소 Java 웹 개발 체험단 활동 중
실무자가 알려주는 Git 입문 수업을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코드프레소 URL : https://www.codepresso.kr/
1. Git 기본 환경 설정
- git 설치 후 최초로 한번만 설정해주면 된다.
(1) 사용자의 이름, 이메일 설정
$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Harry"
$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harry@example.com"
- git은 커밋할 때마다 이 정보를 사용한다.
(2) 기본 에디터 설정
$ git config --global core.editor vim
(3) 설정 정보 확인
$ git config --global --list
(4) 기본 설정 변경
- 1) 위의 설정 명령어를 다시 사용하여도 수정 가능
- 2) gitconfig 파일에 들어가서 직접 수정도 가능
$ vi ~/.gitconfig
- 변경 후 저장하고 종료하면 된다. (:wq)

2. 원격저장소 생성
- 회원가입 후 진행해야 한다.
- 아래 사진은 GitLab에서의 원격저장소 생성 화면 (Gibub에서의 원격저장소 생성도 거의 비슷하다)


* 로컬저장소 생성
[방법 1]
- 1) 로컬저장소 폴더 생성
- 2) 로컬저장소 초기화 (git init)
- 3) 원격저장소와 연결 (git remote add)
[방법 2]
- 1) 로컬저장소 폴더 생성
- 2) 원격저장소 복사 (git clone)
3. 로컬 저장소 생성과 초기화
[방법 1] Git remote
- 1) 로컬저장소 생성
$ cd ~/gittest(원하는 폴더)
$ mkdir my_project
$ cd my_project


- 2) 로컬저장소 초기화
$ git init

- 3) 로컬 저장소, 원격 저장소 연결하기
$ git remote add [저장소 별칭] [저장소 주소]
ex) git remote add origin 'https://gitlab.com/h.hyunjin/codepresso.git'


현재 등록된 원격 저장소의 상세 정보 확인
$ git remote -v
[방법 2] Git Clone

- 1) 로컬 저장소 생성
$ cd ~/gittest
$ mkdir git_project
$ cd git_project
- 2) Git Clone
$ git clone [원격저장소 주소]
ex)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git/git.git

* 작업 디렉터리의 파일 상태
- Untracked
- Git에 의해 관리되지 않은 파일
- 단 한 번도 Staging Area에 포함되지 않은 파일
- Tracked
- Git에 의해 관리되는 파일
- 한 번 이상 Staging Area에 포함된 파일

4. 스테이징 영역에 변경점 추가
$ git add [파일이름]
ex) $ git add TestService.java
- git add 명령어를 통해 untracked 상태의 TestService.java 파일을 tracked 상태로 만들어주었다.

현재 폴더 내 파일의 상태 확인하기
$ git status
5. 커밋 생성
$ git commit -m ["커밋메시지"]

커밋의 히스토리 확인하기
$ git log
* 커밋 되돌리기
- 마지막 반영한 최신 커밋 메시지를 변경하고 싶을 때,
- 최신 커밋 수정 가능한 에디터가 실행된다.
$ git commit --amend
- commit 메세지가 바뀐다.
* 코드의 원복
- 원복의 의미
- 반영한 특정 코드(변경점)을 제거한다.
- 변경을 취소한다.
- 반영한 커밋을 되돌린다.
- 반영한 커밋을 revert 시킨다.
- Git에서는 원복의 단위가 커밋이다.
$ git revert [commit ID]


6. 원격 저장소에 커밋 반영하기 (Push)
$ git push [저장소별칭] [branch]
ex) $ git push origin master


- GitLab 홈페이지에서 파일이 업로드된 것을 알 수 있다.
- commit들이 원격 저장소로 옮기기(Push)전에 원격저장소의 변경이 있었는지 확인하고, 변경점이 있다면 내용을 가져온다. (pull)
Pull
$ git pull [저장소별칭] [branch]
$ git pull origin master
- 원격 저장소에 있는 다른 개발자의 커밋들을 받아온다.

- 로컬저장소에서 만든 커밋을 원격저장소로 업로드한다.

- 협업 시에는 git pull을 통해 프로젝트의 최신 커밋들을 나의 로컬 저장소로 가져와서 병합시킨 후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.

반응형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Branch 병합(Merge)와 충돌(Conflict) 해결 (0) | 2022.01.17 |
---|---|
[GIT] Git Branch (0) | 2022.01.17 |
[GIT] Git 기본 용어와 기본 플로우(flow) (0) | 2022.01.17 |
[GIT] Git 설치 (Window) (0) | 2022.01.17 |
git 소스코드 Push (0) | 2021.09.15 |
댓글